hobbyware

Remix OS (리믹스 OS) 맥, 맥북에 설치하기

mac & ios

준비물


- 8GB 이상의 USB


http://www.jide.com/remixos-for-pc#downloadNow


토렌트를 이용해 맥 사양에 맞는 파일을 다운받아 줍니다.













https://unetbootin.github.io





사과 마크를 눌러서 UNetbootin 을 받아줍니다.











https://sourceforge.net/projects/refind/




초록색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 rEFInd를 받아 줍시다.





시작이 반이라고 이렇게 준비물만 받아도 거의 끝난것 같네요!




이제 준비된 usb를 연결하고 디스크 유틸리티를 실행해줍시다. 




스팟라이트에서 검색하거나











런치패드에서 기타->디스크 유틸리티






디스크 유틸리티에서 USB를 MS-DOS 포맷으로 지우기 실행









미리 받아 놓은 unetbootin.app 을 실행해 줍니다.


1번을 눌러 미리 받아둔 iso 이미지를 선택하고 


2번을 눌러 외장 디스크(USB)를 선택합니다.


2번에서 여러개가 떴는데 뭘 골라야 할지 모른다면


터미널에서 diskutil list 명렁어를 통해 해당 디스크를 알아냅니다.





ok를 눌러 진행해 줍시다. 


시간이 조금 걸리니 차분히 기다려 줍시다.




(먼저, System Integrity Protection 이 해제 되어있어야 합니다. 


해제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맥이 부팅되면서 애플 로고가 뜰때 CMD + R 을 눌러 리커버리 모드로 들어가줍니다.


여기서 유틸리티 -> 터미널 에 들어간뒤


csrutil disable


명렁어를 입력해줍니다. 어때요 간단하죠?)




그 후 터미널을 실행하고 미리 받아두었던 refined에서 refind-install 파일을 드래그 해서 실행해줍니다.


실행이 완료되면 맥을 완전히 종료합니다.


그리고 다시 맥이 전원을 키면





짜잔 이런 화면이 나타납니다. 본인의 것과 조금 달라도 놀라지 말고 원 세개로 이루어진 아이콘을 클릭후 엔터.




잘 보이진 않지만 resident mode를 커서로 선택한후 e 를 눌러줍니다.







DATA = USB_DATA_PARTITION = 1 부분을  DATA = CREATE_DATA_IMG = 1 DPI = 265 로 수정해줍니다. (이 부분은 아마 매 부팅마다 계속 수정해줘야 하는거 같네요...)


후에 f10 버튼을 눌러서 부팅을 진행합시다.


RemixOS가 파인더에서 설치된 하드 혹은 ssd, usb 로 이동해줍니다.


/'os가 설치된 저장소'/boot/grub 으로 이동해 grub.cfg 파일을 메모장 등으로 열어


menuentry 'Resident mode 로 시작하는 단락을 찾아줍니다. 


그 부분에서 DATA = USB_DATA_PARTITION = 1 부분을  DATA = CREATE_DATA_IMG = 1 DPI = 265 로 수정해줍니다.


그리고 저장!


그러면 매 부팅시마다 수정하지 않아도 매끄럽게 부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짜잔 RemixOS로 부팅 성공.


안드로이드 앱 에뮬레이터 보다 훨씬 안정적이고 빠르게 앱들을 구동가능합니다.


usb가 아닌 내장 하드에 설치하시고 싶으시면 일단 usb로 만드시고 하드에 파티션 추가해서 MS-DOS 포맷으로 지우기 해준뒤에


usb 내용 전부를 복사해서 새로추가한 파티션에 넣으시면 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하트 한번만 눌러주세요 ~_~


질문은 댓글로~ 그럼 20000

[몬스터헌터] 몬헌 더블크로스 맥용 에디터 1.1

develop

*새로운 버전이 나왔습니다!!! 이 포스트는 무시하시고 새로운 버전으로 건너뛰셔도 좋습니다*

*링크 : http://hobbyware.tistory.com/44 *



맥용 아이템 박스 에디터 입니다. 맥용 에디터가 없어서 에디트 할때마다 윈도우 부팅 하는게 너무 귀찮아서 직접 만들어봤습니다..


허접한 UI 지만 뭐 작동은 잘되는거 같아요(?;;;;)


터미널에서 chmod 777 입력후 (엔터치기 전에) 다운받은 에디터를 드래그해서 놓으시면 됩니다. 


유튜브 영상 참고하세요~




건의 사항이나 문의사항은 댓글  문의 주세요 감사합니다.



다운로드 링크 : https://drive.google.com/open?id=0B-FA_k8NQ1E1RFlZUGFzNmFtNG8

'develo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몬스터헌터] 몬헌 더블크로스 맥용 에디터 1.2  (0) 2017.05.24

시벨리우스 강좌 ( 박자 & 키 설정하기 )

music/sibelius

노테이션 탭에서 타임시그네쳐를 클릭 해준다.







그리고 원하는 곳에 클릭해준다.





위와 같이 4/4 타임 시그네쳐가 생겨났다.



이번엔 변박을 시켜보자.


타임시그네쳐 버튼을 누르고 원하는 박자르 골라준뒤


원하는 마디에 클릭을 해준다.







4/4 가 자동으로 생성된다.


선택하고 딜리트키를 눌러 지워주자.




이번엔 키를 설정해보자.


마찬가지로 노테이션 탭에서 키 시그네쳐를 클릭.





원하는 키를 골라준뒤 원하는 마디를 선택해준다.





이번엔 전조를 시켜보자.


다시 원하는 키를 선택후 원하는 마디에 입력해준다.





어떤가 참 쉽지 않은가?

'music > sibeliu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벨리우스 강좌] 4마디씩 보기  (1) 2017.02.14
[시벨리우스 강좌] 이조하는법 transpose  (0) 2017.02.14

포커스라이트 스칼렛 플러그인 & 레드 플러그인 설치

music/logic pro x

포커스라이트사의 스칼렛 시리즈를 구입하면 무료로 제공되는 스칼렛 플러그인과 레드 플러그인 설치법을 알아보자.


일단 각 운영체제에 맞는 설치파일을 다운받고 (www.focusrite.com -> my account)


설치해준다. 후 사용하는 DAW를 실행시키고 설치한 플러그인을 불러온다.




액티베이트 버튼을 누르면 등록하는 홈페이지로 이동한다.



간단한 정보들을 입력하고 submit 버튼을 누르면


.fnlf 확장자의 파일이 자동으로 다운로드 되어지다.


그럼 다시 각자의 DAW로 돌아가 install license 버튼을 클릭.


다운받아진 인증파일을 설치해주면 액티베이트가 완료된다.





마찬가지 같은방식으로 레드 플러그인 2&3 (red plugin 2&3) 도 설치하였다.





스칼렛 시리즈

*컴프레서

*이퀄라이저

*게이트

*리버브



레드 플러그인 시리즈

*레드 2 이퀄라이저

*레드3 컴프레서

맥 osx 엘 캐피탄 (el capitan 10.11) 에서 아두이노 우노 설치 (드라이버 포함)

develop/arduino

보통은 설치를 안해도 인식을 하지만


usb port 칩을 중국산 ch340 칩을 사용한 클론 제품은 드라이버를 설치해줘야 한다.


ch340 칩을 쓰는 이유는 아마도 원가 절감.



avrdude: ser_recv(): programmer is not responding


아마 이런 에러가 나오면서 안될것이다.

포트를 확인해보면 /dev/cu.Bluetooth-incoming-port 밖에 안나왔다. (아두이노를 연결한 상태)


제대로 설치된 후에는 /dev/cu.wchusbserial1410 이 나타나 선택후 업로드 완료.






엘캐피탄 부터는 서명되지 않은 드라이버를 깔 수 없게 프로텍션 되어있다. 


그래서 프로텍션을 해지해주어야 하는데



1)부팅시 애플로고가 나왔을때 command + r 을 눌러 리커버리 모드 진입


2) 유틸리티 -> 터미널 실행


3) csrutil enable --without kext 입력


4) 재부팅후 첨부파일 설치


5) 설치후 재부팅




포트가 잡힌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제를 불러와 업로드후 되는지 확인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