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mix OS (리믹스 OS) 맥, 맥북에 설치하기
mac & ios준비물
- 8GB 이상의 USB
- http://www.jide.com/remixos-for-pc#downloadNow
토렌트를 이용해 맥 사양에 맞는 파일을 다운받아 줍니다.
- https://unetbootin.github.io
사과 마크를 눌러서 UNetbootin 을 받아줍니다.
- https://sourceforge.net/projects/refind/
초록색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 rEFInd를 받아 줍시다.
시작이 반이라고 이렇게 준비물만 받아도 거의 끝난것 같네요!
이제 준비된 usb를 연결하고 디스크 유틸리티를 실행해줍시다.
스팟라이트에서 검색하거나
런치패드에서 기타->디스크 유틸리티
디스크 유틸리티에서 USB를 MS-DOS 포맷으로 지우기 실행
미리 받아 놓은 unetbootin.app 을 실행해 줍니다.
1번을 눌러 미리 받아둔 iso 이미지를 선택하고
2번을 눌러 외장 디스크(USB)를 선택합니다.
2번에서 여러개가 떴는데 뭘 골라야 할지 모른다면
터미널에서 diskutil list 명렁어를 통해 해당 디스크를 알아냅니다.
ok를 눌러 진행해 줍시다.
시간이 조금 걸리니 차분히 기다려 줍시다.
(먼저, System Integrity Protection 이 해제 되어있어야 합니다.
해제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맥이 부팅되면서 애플 로고가 뜰때 CMD + R 을 눌러 리커버리 모드로 들어가줍니다.
여기서 유틸리티 -> 터미널 에 들어간뒤
csrutil disable
명렁어를 입력해줍니다. 어때요 간단하죠?)
그 후 터미널을 실행하고 미리 받아두었던 refined에서 refind-install 파일을 드래그 해서 실행해줍니다.
실행이 완료되면 맥을 완전히 종료합니다.
그리고 다시 맥이 전원을 키면
짜잔 이런 화면이 나타납니다. 본인의 것과 조금 달라도 놀라지 말고 원 세개로 이루어진 아이콘을 클릭후 엔터.
잘 보이진 않지만 resident mode를 커서로 선택한후 e 를 눌러줍니다.
DATA = USB_DATA_PARTITION = 1 부분을 DATA = CREATE_DATA_IMG = 1 DPI = 265 로 수정해줍니다. (이 부분은 아마 매 부팅마다 계속 수정해줘야 하는거 같네요...)
후에 f10 버튼을 눌러서 부팅을 진행합시다.
RemixOS가 파인더에서 설치된 하드 혹은 ssd, usb 로 이동해줍니다.
/'os가 설치된 저장소'/boot/grub 으로 이동해 grub.cfg 파일을 메모장 등으로 열어
menuentry 'Resident mode 로 시작하는 단락을 찾아줍니다.
그 부분에서 DATA = USB_DATA_PARTITION = 1 부분을 DATA = CREATE_DATA_IMG = 1 DPI = 265 로 수정해줍니다.
그리고 저장!
그러면 매 부팅시마다 수정하지 않아도 매끄럽게 부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짜잔 RemixOS로 부팅 성공.
안드로이드 앱 에뮬레이터 보다 훨씬 안정적이고 빠르게 앱들을 구동가능합니다.
usb가 아닌 내장 하드에 설치하시고 싶으시면 일단 usb로 만드시고 하드에 파티션 추가해서 MS-DOS 포맷으로 지우기 해준뒤에
usb 내용 전부를 복사해서 새로추가한 파티션에 넣으시면 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하트 한번만 눌러주세요 ~_~
질문은 댓글로~ 그럼 20000
'mac & i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high sierra (10.13.6) 에서 eGPU (nvidia) 사용하기 (3) | 2018.11.03 |
---|---|
맥용 사파리에서 페이지별 단축키 설정하기 (소소한 꿀팁) (0) | 2016.04.11 |
맥 / 맥북 유용한 단축키 모음 (0) | 2016.04.11 |